Skip to content

Commit ed7a12a

Browse files
committed
"Read & Write Local Files" has been translated.
1 parent edef865 commit ed7a12a

File tree

1 file changed

+4
-4
lines changed

1 file changed

+4
-4
lines changed

docs/ko/savingreading-local-files.md

Lines changed: 4 additions & 4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18 +1,18 @@
11
# Read & Write Local Files
22

3-
`electron` 사용의 큰 이점 중 하나는 사용자의 파일 시스템에 액세스 할 수 있다는 것 입니다. This enables you to read and write files on the local system. To help avoid Chromium restrictions and writing to your application's internal files, make sure to take use of `electron`'s APIs, specifically the [`app.getPath(name)`](https://electron.atom.io/docs/api/app/#appgetpathname) function. This helper method can get you file paths to system directories such as the user's desktop, system temporary files, etc.
3+
`electron` 사용의 큰 이점 중 하나는 사용자의 파일 시스템에 액세스 할 수 있다는 것 입니다. 여러분은 로컬 시스템에서 파일을 읽고 쓸 수 있습니다. Chromium 제한을 피하고 애플리케이션의 내부 파일에 글을 쓰려면 `electron`의 API, 특히 [`app.getPath(name)`](https://electron.atom.io/docs/api/app/#appgetpathname) 함수를 사용해야합니다. 이 도우미 메소드는 사용자의 데스크탑, 시스템 임시 파일 등과 같은 시스템 디렉토리에 대한 파일 경로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44

55
### Use Case
66

7-
Let's say we want to have a local database store for our application. In this example we'll demonstrate with [`nedb`](https://github.com/louischatriot/nedb).
7+
애플리케이션를 위한 로컬 데이터베이스 저장소를 갖기를 원한다고 가정 해 봅시다. 이 예제에서는 [`nedb`](https://github.com/louischatriot/nedb)를 사용하여 시연합니다.
88

99
```bash
1010
yarn add nedb # or npm install nedb --save
1111
```
1212

1313
**src/renderer/datastore.js**
1414

15-
Here we setup NeDB and point it to our `userData` directory. This space is reserved specifically for our application, so we can have confidence other programs or other user interactions should not tamper with this file space. From here we can import `datastore.js` in our `renderer` process and consume it.
15+
여기서는 NeDB를 설정하고 `userData` 디렉토리를 가리 킵니다. 이 공간은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특별히 예약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다른 프로그램이나 다른 사용자의 상호작용이 이 파일 공간을 변경해서는 안된다는 확신을 가질 수 있습니다. `renderer` 프로세스에서 `datastore.js`를 가져와서 소비 할 수 있습니다.
1616

1717
```js
1818
import Datastore from 'nedb'
@@ -27,7 +27,7 @@ export default new Datastore({
2727

2828
**src/renderer/main.js**
2929

30-
To take this a step further, we can then import our datastore into `src/renderer/main.js` and attach it to the Vue prototype. Doing so, we are now able to access the datastore API through the usage of `this.$db` in all component files.
30+
단계를 더 진행하기 위해, datastore를 `src/renderer/main.js`로 가져와서 Vue 프로토타입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모든 component 파일에서 `this.$db`를 사용하여 datastore API에 액세스 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3131

3232
```js
3333
import db from './datastore'

0 commit comments

Comments
 (0)